[데일리팜=이석준 기자] 한국피엠지제약이 연 500억원 매출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해 126억원 매출을 올린 '레일라' 후속약이 허가를 받으며 레일라 라인업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피엠지제약은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 400억원을 돌파했다. 이 회사는 레일라 후속약 20여곳의 생산도 맡고 있어 시너지 극대화가 점쳐진다.
피엠지제약은 최근 '레일라디에스' 허가를 받았다. 기존 레일라에 세레콕시브 성분을 더한 후속약물이다. 레일라는 2021년 천연물신약으로 승인받았다.
레일라는 2017년 227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101억원까지 감소했지만 이후 매출액을 회복하며 지난해 126억원을 달성했다. 2016년부터 삼일제약과 공동 판매하고 있다.
레일라디에스가 레일라 신화를 재현하면 피엠지제약의 외형은 급성장이 가능하다.
발판은 마련됐다. 회사는 레일라디에스 신약 개발 성공시 20여곳이 공동으로 허가를 취득하고 피엠지제약으로부터 위탁생산 받은 신약을 판매할 권리를 갖기로 했다.
경동제약 '셀렉카듀오정', 광동제약 '콕스듀오정', 대웅바이오 '베아콕시브플러스정', 동국제약 '셀레브론정', 바스칸바이오제약 '쎄브칸플러스정', 삼일제약 '레콕스정', 삼진제약 '아스본플러스정', 씨엠지제약 '씨콕스플러스정', 안국약품 '콕스투플러스정', 알리코제약 '레이셀코정', 에이치엘비제약 '렉스듀오정', 유니메드제약 '본에콕스정', 일화 '셀레이나정', 제뉴원사이언스 '세레듀오정', 진양제약 '아리아디에스정', 팜젠사이언스 '듀오조인정', 풍림무약 '쎄레텍정', 한국유니온제약 '유니일라플러스정', 한국휴텍스제약 '네일락콤비정' 등이다.
이에 피엠지제약은 레일라디에스 자체 매출에 위수탁 수익까지 얻을 수 있다. 피엠지제약은 20여곳 생산을 모두 맡는다.
지난해 역대급 매출을 이룬 피엠지제약은 레일라정과 신플랙스세이프정 두 제품이 176억원을 합작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2017년 350억원을 기록한 후 2019년 283억원까지 미끄러졌지만 2020년 359억원, 2021년 369억원, 지난해 410억원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